
실무를 하는 중에 자꾸 next.d.ts 라는 파일이 생성되어 이게 뭔지 확인하고 지우는 작업을 반복하고는 한다. 왜 자꾸 생성되는 건지, 무엇에 쓰는 물건인지 정리해본다. next-env.d.ts 파일이란?Next.js 프로젝트에서 TypeScript를 사용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일로, TypeScript 컴파일러에게 Next.js 프로젝트의 환경을 이해하고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next-env.d.ts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next-env.d.ts 파일이 Typescript 컴파일러로 인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시점은 아래와 같이 세 시점이다.프로젝트 초기화 시TypeScript 컴파일 시외부 라이브러리의 타입이나 커스텀 타입을 사용 시next-env.d.ts 파일이 하는 일타입 선언: 프로젝트에서 ..

요즘 개인적으로 NextJS 웹페이지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기본적으로 보여주려고 하는 부분이 FE인지라 첫 프로젝트는 서버리스(Serverless)로 구성하려고 한다.나도 NextJS만으로 DB연결과 API 통신까지 모두 사용한 경험은 없어 생소하지만 매우 쉽고 간편한것 같아서 정리해본다.DB 연결1. 데이터베이스 선택 및 연결:MySQL: mysql 또는 mysql2 라이브러리를 사용PostgreSQL: pg 라이브러리를 사용MongoDB: mongoose 라이브러리를 사용SQLite: sqlite3 라이브러리를 사용1–1. npm을 통해 mysql2 패키지 설치npm install mysql21–2. mysql2 연결 설정const mysql = require('mysql2');const connect..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