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실무를 하는 중에 자꾸 next.d.ts 라는 파일이 생성되어 이게 뭔지 확인하고 지우는 작업을 반복하고는 한다. 왜 자꾸 생성되는 건지, 무엇에 쓰는 물건인지 정리해본다.
next-env.d.ts 파일이란?
Next.js 프로젝트에서 TypeScript를 사용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일로, TypeScript 컴파일러에게 Next.js 프로젝트의 환경을 이해하고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next-env.d.ts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
next-env.d.ts 파일이 Typescript 컴파일러로 인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시점은 아래와 같이 세 시점이다.
- 프로젝트 초기화 시
- TypeScript 컴파일 시
- 외부 라이브러리의 타입이나 커스텀 타입을 사용 시
next-env.d.ts 파일이 하는 일
- 타입 선언: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외부 라이브러리나 모듈의 타입을 선언함으로써 TypeScript가 해당 모듈의 타입을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다.
- 환경 설정: 환경 변수의 타입 선언이나 모듈의 경로 설정 등을 포함한 Next.js 프로젝트의 환경 설정과 관련된 TypeScript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 커스텀 타입: 프로젝트 내에서 공유되는 커스텀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프로젝트 전체에서 일관된 타입을 유지하고 재사용하기 용이해진다.
간단히 정리해서, 환경변수 파일(.env)과 환경 변수에 대한 타입을 지정하는 역할을 하는 파일로, Tyepscript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사용하지 않는다면 .gitignore에 추가할 것.
반응형
'React와 Nex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ynamic Import란 (0) | 2024.10.18 |
---|---|
React.FC | 함수형 컴포넌트 타입 (1) | 2024.10.16 |
useRouter.push와 window.location.href의 차이 (0) | 2024.10.15 |
Would you like to use `src/` directory? (0) | 2024.10.14 |
NextJS로 API 만들기 (0) | 2024.10.11 |
- Total
- Today
- Yesterday
반응형